Home

2025년 02월 22일
Vision2000
예수프론트라인

예수칼럼:현대적 고전으로 읽히는 최장기 베스트 셀러!
4영리에 대하여 들어보셨습니까?
양치는소리:인터넷 선교원 후원이사 목사님들의 글모음
비전이야기:우리들의 이야기, 독자들로 부터의 글모음
선교마당:선교사로부터의 편지, 선교지소개 등 선교에 관한 글모음

각종 자료 연결
영원한 명시
박광택코너

교회-단체연결

김준곤 예화모음

박성민의 성서보기

경제전망대

천일웅 변호사 이민법 칼럼

인터넷이모저모




동아일보
전자신문
조선일보
중앙일보
미주중앙일보
한국일보
미주한국일보
한겨레신문
라디오서울USA
The New York Times



  • "어버이 달, 스승의 달 오월에 생각 나는 교훈"


    (사진 변 희석 기자)

    -해 지는 석양 고아원에 이유를 알 수 없는 고아의 울음소리-

    해 아래 새것은 없다. 그럴지라도 사계(四季)의 5월은 해마다 새롭기만 하다.

    논두렁에 어머니 생각 나는 봄 쑥이 솟고, 동무들과 고향이 생각 나는 개나리 철쭉이 피었다. 복숭아꽃 살구꽃 벚꽃 유채꽃으로 칩칩했던 긴 겨울을 밝혀주는 황홀한 계절이다. 이제 눈이 시린 푸르른 신록(新綠)이 새로움으로 변할 수 있는 희망을 안고 새 세상을 열어 보여 주고 있다. 역시 계절의 여왕은 5월, 인생의 여왕은 어머니다. 오월은 축제의 날이 가장 많이 있는 달이지만 "어버이의 달"이고 "어린이의 달" "스승의 달"이다 .

    60년대 초는 '반공(反共)을 국시'로 삼은 살벌한 군사정권의 계엄령 하에 이데올로기 흑백논리 시대였다. 캠퍼스는 온통 쥐구멍 뚫린 듯 남파 간첩이 포섭할 인재를 찾아 자신도 모르게 용공집단에 명단이 올라 있고 캠퍼스 귀퉁이마다 술렁이는 혼란과 그리고 방황의 시간이었다. 무신론적 실존주의 까뮤나 싸르뜨르가 지성을 과시하던 시절, 어디를 가도 "이방인(異邦人)"의 망령이 그림자 처럼 허무의 그림자로 우리 의식을 따라 부치고 있었다. 어두울수록 좋은 침침한 다방 담배연기 자욱한 음악 감상실이 유일한 쉼터였다.

    바로 그 시점에 CCC의 한국 캠퍼스사역이 시작되었다. 30대 청년 김준곤 목사님이 고대(高大) 캠퍼스를 맴돌다 불청객 문전박대로 우득하니 섰다가 돌아서야 하는, 거부와 혁명적 혼란의 소용돌이 속에 그때 우리는 혼미(昏迷)와 방랑(放浪)과 자조적 반항의식으로 몽유병(夢遊病) 환자들이었다. 목사님은 저동 회관에서, 충무로 회관에서 묵정동 회관에서 금식하며 준비한 멧세지로 그때 우리를 깨우고 있었다. CCC 정기 주일 모임이 시작되었다.

    두 번 반복 할 수 없는 그때의 멧세지들을 그때 군용으로 나온 고물 RCA 릴 녹음기를 CCC 켄 크레머 선교사가 미8군에서 얻어와 녹음을 했다. 거의 한번도 거르지 않고 100개가 넘는 릴에 녹음해서, 나대로 가보처럼 철제 캐비넷에 넣고 잠그고 열고 보관했다.

    71년 12월 8일 도미하면서 목사님께 내 인생의 가장 소중한 유산처럼 목사님께 선물로 드리고 왔다. 그런데 그 태잎들이 몽땅 없어지고 말았다. 생각만 해도 분통이 터지고 울화가 치민다. 아깝다. 너무 아까운 한국 기독교사의 유산이 분실되었다. 지금 그때 태잎을 다시 들을 수는 없지만 내 기억 속에 심장 속에 녹음된 목사님의 멧세지를 한 가닥씩 꺼내고 있다. 목사님은 당신이 만든 예화를 다른 사람이 지은 것을 인용하는 것처럼 들려 줄 때가 많았다. 내 인생의 키를 돌려 준 스승의 가르침을 생각한다.

    -해 넘어 가는 노을진 석양 언덕에 고아원이 있었다. 하루해가 저물고 저녁이 되면 어린 고아 하나가 울기 시작한다. 길에 내다 버린 갓 주어온 두 살 백이 고아다. 보모가 달래도 소용이 없다. 배가 고파 그런가 해서 먹을 것을 주어도 울어댄다. 어디가 아픈가 해서 약을 먹여도 울어댄다. 장난감을 주어도 악을 쓰고 울기만 한다. 옷 속에 벌레가 있어 그런가 싶어 새 옷을 가라 입혀도 울어댄다. 아무도 고아의 울음을 멈추게 할 수 없다. 아무도 그 이유를 아는 사람이 없었다. 울고 있는 고아도 자신이 왜 우는지 모르고 울고 만 있는 것이다. 그 해 넘어가는 시간이 지나면 울음이 멈춘다. 나중에 안 사실로 그 시간에 밭을 매고 돌아온 어머니가 가슴에 품고 젖을 먹는 시간이었다. 인간 개인도 인류 전체도 이 고아의 울음을 가지고 있다. 자신도 우는 이유를 모르는 울음, 그 누구도 그 울음을 알 수가 없는 울음들이 심층 깊은 곳에 내재하고 있다. 이것이 자신의 울음이고, 인류전체의 울음이다. 통곡이다. 절규다. 겉으로 웃고 자기만족에 도취되어 있을지라도 이 깊은 울음은 예수를 만날 때까지 자신을 보채고 있을 것이다.-

    나는 그때 나 자신의 울음소리를 들었다. 그리고 울음소리와 함께 내 인생의 키를 돌렸다. 그 울고 있는 고아는 나 자신이고, 울고 있는 거리의 사람들 통곡소리를 들은 것이다. 그로부터 사십여 년이 흘러 가 버린 지금, 나는 나에게서 내가 맛나고 있는 사람들에게서 그 울음소리를 들으며 예수를 전하고 있다.

    5월, 신록의 계절에 새로운 2000년 세기로 접어드는 길목에서 밤하늘 별을 헤며 어머니를 불렀던 윤동주, 밤 기적 소리를 들을 때 울 쩍 솟아 오른 어머니를 생각하며, 후회 없는 인생의 선택을 열어 준 스승을 생각한다. 인간 심층에 자리잡고 있는 터전은 어머니다. 그 터전이 무너져 어머니도 없고 자식도 없는 시대가 되어 간다. 스승이 없어진 지 오래 되었고 조상의 묘를 식칼로 찌르는 폐륜(廢倫)의 세태다.

    어머니와 같은 대지(大地)가 마구 중금속, 방사성 라돈으로 폐허가 되어 가고 있다. 화학비료, 살충제, 문명이라는 이름의 공장폐수가 땅을 죽이고 있다. 신세대를 가장한 탕아들이 부모와 스승의 가슴에 칼질을 하는 것과 같다. 뉴욕 근교에 세계 제1의 쇼핑몰이 세워져 연일 초만원을 이루고 있다. 쓰레기 처리장으로 대지를 죽인 자리 방사성 독극물로 사람도 식물도 살수 없는 땅위에 초호화 쇼핑몰을 짓고 그 위에 인간의 허영을 팔고 산다. 이 시대의 아이러니다. 어머니 상실 문화, 글로벌 고아(孤兒)의 탕자 시대로 신문화인(新文化人) 의 시대가 와서는 안될 말이다.

    자연과 모성(母性)의 스승의 가르침, 환경문화의 타락과 대지의 오염은 동의어(同意語)다.

    -예수프론트라인 : 강용원-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