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2024년 09월 18일
예수프론트라인

예수칼럼:현대적 고전으로 읽히는 최장기 베스트 셀러!
4영리에 대하여 들어보셨습니까?
양치는소리:인터넷 선교원 후원이사 목사님들의 글모음
비전이야기:우리들의 이야기, 독자들로 부터의 글모음
선교마당:선교사로부터의 편지, 선교지소개 등 선교에 관한 글모음

각종 자료 연결
영원한 명시
박광택코너

교회-단체연결

Vision2000

김준곤 예화모음

박성민의 성서보기

경제전망대

천일웅 변호사 이민법 칼럼

인터넷이모저모




동아일보
전자신문
조선일보
중앙일보
미주중앙일보
한국일보
미주한국일보
한겨레신문
라디오서울USA
The New York Times



  • 승리하는 제자도의 비밀

      박성민 간사

      목사, 연세대와 미국 오하이오주립대(공학박사),
      미국 트리니티신학교 졸업(신약학 박사),
      싱가폴 동아시아신학대학원 부총장,
      한국 C.C.C. 총무 역임
      현 한국 C.C.C. 대표


    ‘씨 뿌리는 자’의 비유
    (마 13:1∼9, 18∼23; 막 4:1∼9, 13∼20; 눅 8:4∼8, 11∼15)


    수님께서 비유를 통해 가르치실 때 농업적인 이미지를 자주 사용하고 계심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농부와 그가 뿌리는 씨를 배경으로 하여 가르치시는 비유가 여러 개 발견되는데, 그 중에서도 이 ‘씨 뿌리는 자’의 비유는 공관복음(마태, 마가, 누가복음)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소수의 비유로서 ‘모든 비유들 중의 비유’라고 일컬어진다. 또한 이 비유는 비유 자체뿐 아니라 이 비유에 대한 예수님의 해석이 함께 기록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이는 다른 비유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해석의 구체적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농업이라는 단어는 다듬어진 넓은 농토에 과학적 영농방법을 동원하여 비료, 제초제, 살충제 등을 이용한 수확의 극대화 등을 떠오르게 한다. 그러나 그 당시는 대부분이 조그만 농토를 빌려 쓰는 영세한 소작농이었다는 현실성을 감안해야 할 뿐 아니라 특별히 팔레스타인 지역의 열악한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며 이 비유를 접해야만이 편견 없는 해석이 가능해진다. ‘씨 뿌리는 자’의 비유를 통하여 우리는 하나님의 나라에 관한 매우 중요한 원리들을 발견할 수 있다.

    1.해석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관찰
    무엇보다도 먼저 이 비유를 다루는 데 있어서 우리가 지나치게 관심을 두지 말아야 할 요소들을 구별하여 내는 것이 필요하다. 열매를 맺는다는 관점을 지나치게 부각함으로 ‘이렇게 낭비하는 농부가 있을까’라는 의문을 제시할 필요도 없으며, 뿌려진 씨 중 1/4만이 수확을 내었다는 것을 묘사하고 있는 것도 아니다. 이러한 수학적, 경제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확실하지도 않은 그 당시의 농사법을 들어가며 불필요한 부연 설명들을 더할 필요도 없다. 오히려 이 비유에서 네 가지 종류의 토양을 들어 설명하는 것은 통계적 정확성을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네 종류의 성장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연이어 주어진 해석을 통해 분명하게 알 수 있듯이 이 비유의 초점은 ‘하나님의 나라’의 전파와 그러한 전파에 대한 사람들의 다양한 응답에 있다. 또한 동시에 ‘하나님 나라의 도래’라는 변혁적 주제를 소개하며 그 도래의 성격과 특징들을 함께 다루고 있다. 뭇사람들의 흔한 예측과는 달리 하나님의 나라는 군사력과 같은 무력을 동원하여 오는 것이 아니라 ‘씨를 뿌리듯’ 말씀으로 도래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방법으로 역사하는 하나님 나라의 확장은 씨 뿌리는 것과 같이 취약하게 보이는 것 같으며, 뿌려지는 조그마한 씨앗과 같을지라도 강하며 하나님 나라에 속하는 생명을 낳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겉으로 보기에 매우 약한 모습과도 같은 복음이 씨가 뿌려지듯 뿌려지면 그것이 가지고 있는 놀라운 잠재력을 보여주게 된다. 이와 함께 씨를 뿌려 수확을 얻기까지는 장시간을 요하듯 하나님 나라의 확장 또한 서서히 이루어진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또한 씨앗과 말씀의 유사성은 다양한 토양에 뿌려진 씨앗과 같이 다양한 사람들의 응답과 연결을 시킬 수 있다. 여기서 그려지고 있는 다양한 모습은 예수님께서 복음 사역을 하며 경험하신 다양한 사람들의 ‘긍정적’ 응답들을 매우 잘 보여 주고 있다. 이 비유를 통해서 분명하게 알 수 있듯이 많은 이들이 예수님의 하나님 나라의 메시지에 응답하였으나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옥토에 뿌려진 씨앗과 같이 열매를 맺지 못하여 결국 열매 맺는 제자가 되지 못하였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 비유를 통하여 이러한 열매 맺지 못하는 것에 대한 책임은 씨 뿌리는 자나 씨 자체에 있지 아니하며 바로 토양이 안고 있는 문제점이라는 것을 분명히 지적하고 있다. 그와 함께 그러한 무력하며 효과적이지 않은 결과에 대해 다양한 설명을 통하여 열매 맺는 성공적인 제자도를 이루는데 있어서 방해되는 장애물들을 부각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 비유를 지나치게 해석하여 ‘바뀌어질 수 없는 고정된 토양’과 같이 각자를 운명론적인 결론으로 귀결하는 것은 용납하고 있지 않다. 오히려 비유의 마지막에서도 보여주고 있듯 ‘귀 있는 자는 들을지어다’라고 하며 각 개인들의 분명하고 변화된 응답을 요구하고 있다. 바로 이곳에 나오는 토양의 종류 중에서 옥토와 같이 열매 맺는 삶을 살기 위한 우리의 헌신과 노력이 필요함을 알게 하며 도전하고 있다.

    2.이 비유를 통해 얻는 교훈
    이 비유를 통하여 다음 세 가지의 교훈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씨 뿌리는 농부의 모습과 같이 하나님께서는 차별하지 아니하시고 모든 종류의 사람들에게 그 분의 말씀을 광범위하게 전파하고 계신다는 것이다.
    둘째, 열매 맺지 아니하는 세 종류의 토양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그 분의 말씀을 접할지라도 다양한 모습과 이유로 인해 ‘구원에 이르는 믿음’을 소유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이유로는 길가에 뿌려진 씨앗과 같이 사탄의 유혹으로 인해 하나님께 긍정적이며 적극적인 응답을 드릴 수 없거나, 돌밭에 뿌려진 씨앗과 같이 진정한 헌신으로 가장된 순간적 얄팍함으로 인하여, 또는 가시덤불 속에 뿌려진 씨앗과 같이 진실한 관심과 진리에 관한 확신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주님의 제자로서 요구되는 삶을 살지 못한 채 도중하차해 버리는 경우들이 있다.
    마지막으로 열매 맺는 토양과 같이 하나님의 말씀을 순수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유일한 반응은 진정한 거듭남의 증거적 열매를 낳게 하는 순종과 인내이라는 것이다.

    3.이 비유의 교훈과 우리의 현실
    무엇보다도 먼저 ‘씨 뿌리는 자’로서의 하나님의 모습을 보며 복음을 전파하는 자들이 취하여야 할 자세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이것은 복음 전파의 사명을 가지고 살아가는 모든 이들을 향하여 주어지는 교훈으로 그 사명을 행할 때 그 사명의 근원되시는 분의 속성과 그 분의 행하시는 모습과 같이 차별 없이 (또는 ‘무차별하게') 또한 다양한 모습을 가지고 모든 이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태도는 이 세상에서 복음이 필요하지 않는 의로운 자들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우리 인간의 현실에 부합하며, 또한 복음이 전파되어질지라도 이 비유 속에서 발견할 수 있듯이 열매 맺지 못하는 다양한 토양들과 같은 마음밭이 존재하기 때문에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다양하게 차별 없이 때를 얻든지 못 얻든지 복음을 전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잊지 말아야 하는 것은 복음 전파가 어려운 그룹들이 존재할지라도 양질의 토양에 복음이 전하여질 때 30배, 60배, 100배라는 엄청난 결실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으로 복음이 전파되어져야 한다. 결국 다양한 선교 단체와 다양한 선교의 모습들이 우리 속에 자연스럽게 인정되어져야 하며 격려되는 분위기가 필요하다.

    다른 면에서의 적용은 그러한 복음을 듣는 자들로서의 우리의 자세에 관한 것이다. 아니 좀 더 발전시키어 생각해 보자면 ‘주님의 제자라고 생각하고 있는 자들’에게 던지어지는 매우 중요한 자기 평가를 위한 질문이다. 다시 말해 올바른 질문을 통해 각자의 모습을 평가해보는 자세가 우리 모두에게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질문의 성격은 단순히 ‘교회에 다니고 있는가, 아닌가’의 질문이 아니며, 또는 ‘예수 그리스도를 개인의 주와 하나님으로 영접하였는가’의 질문에 머물고 있지 않다는 것을 보아야 한다. 오히려 ‘주님의 제자로서 포괄적 의미로서의 열매(생명의 열매인 전도의 열매와 인격의 열매인 성령의 열매)를 맺는 자인가? 또한 끝까지 제자의 삶을 사는 자가 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이다. ‘어떠한 상황 하에서도 포기하지 않으며 타협하지 않고 살아가는 ‘자신을 부인하고 십자가를 지고 예수님을 좇는 삶(마 16:24)을 살고 있는가?’라는 궁극적 질문을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기쁨으로 예수님을 영접한 경험이 있다는 것도 그렇게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오직 ‘끝까지 그러한 삶을 살아야 한다.’는 메시지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물론 그렇다고 하여 두려움을 가지고 항상 자신과 확신 없이 살라는 것을 가르치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함께 알아야 한다. 오히려 이 세상에서 시작된 변혁의 사역에로의 부르심을 행하며 사는 것의 쉽지 않음과 함께 그러한 삶을 살 때 수많은 생명의 열매를 낳음으로 씨 뿌리는 자에게 큰 기쁨이 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결국 이 비유는 그러한 가슴 벅찬 변혁의 사역에로의 부르심을 향한 우리의 각오를 다지도록 요구하고 있다. 당신은 어떠한 각오로 그러한 사역을 감당하기를 원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