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2024년 09월 18일
예수프론트라인

예수칼럼:현대적 고전으로 읽히는 최장기 베스트 셀러!
4영리에 대하여 들어보셨습니까?
양치는소리:인터넷 선교원 후원이사 목사님들의 글모음
비전이야기:우리들의 이야기, 독자들로 부터의 글모음
선교마당:선교사로부터의 편지, 선교지소개 등 선교에 관한 글모음

각종 자료 연결
영원한 명시
박광택코너

교회-단체연결

Vision2000

김준곤 예화모음

박성민의 성서보기

경제전망대

천일웅 변호사 이민법 칼럼

인터넷이모저모




동아일보
전자신문
조선일보
중앙일보
미주중앙일보
한국일보
미주한국일보
한겨레신문
라디오서울USA
The New York Times



  • 끝까지 포기하지 마십시오

      박성민 간사

      목사, 연세대와 미국 오하이오주립대(공학박사),
      미국 트리니티신학교 졸업(신약학 박사),
      싱가폴 동아시아신학대학원 부총장,
      한국 C.C.C. 총무 역임
      현 한국 C.C.C. 대표


    “의롭지 못한 재판관”의 비유(눅 18:1∼8)

    이 비유는 겉으로 보기에 누가복음 11장 5∼8절에 나오는 ‘밤중에 구하는 벗’의 비유와 매우 유사한 점이 많은 비유라는 사실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부끄러움을 무릅쓰고 밤중에 찾아온 손님을 위해 이웃 식구 모두를 깨우면서까지 손 대접을 하는 한 사람의 모습과, 이곳에서 의롭지 못한 재판관의 반복되는 거절에도 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하소연하는 과부의 모습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다른 이를 괴롭힌다’라는 점에서 서로 유사한 중심 줄거리를 가지고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도 이 두 비유 간에는 서로 비슷한 공통점들이 많이 있다. 바로 그러한 이유 때문에 흔히 이 비유는 11장에 나오는 ‘밤중에 구하는 벗’이라고 알려진 비유와 쌍둥이라 불리어진다. 그렇다고 하여 이 비유를 통한 가르침에 새로운 요소가 없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 비유 속에서 우리는 기도의 지평선을 넓히는 포괄적인 가르침을 발견할 수 있다.

    1. 해석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관찰

    이 비유의 해석의 열쇠는 이 비유 속에 존재하는 독특한 점들을 발견하여 살피는 것이다. 무엇보다 먼저 다른 비유에서는 비유의 결론(conclusion) 이후에 적용(application)부분이 주어지는 것과는 다르게 이곳에서는 적용 부분(1절 “항상 기도하고 낙망치 말아야 할 것을 저희에게 비유로 하여”)이 먼저 제시되고 있는 특징이 있다. 이와 함께 결론 부분이라 할 수 있는 곳에서 “그러나 인자가 올 때에 세상에서 믿음을 보겠느냐”(8절 후)라는 의문형태로 비유를 마치고 있다.

    이 두 가지 사실이 이 비유의 해석의 가장 기본적 틀을 제공하고 있다. 비유의 시작부터 ‘포기하지 않는 기도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으며, 끝 부분에서 ‘종말’이라는 단어가 언급되므로 이 두 부분 사이에 존재하는 기도의 내용이 ‘종말’과 관련된 기도로 보는 것의 당위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이 비유 앞의 문맥과도 일치한다. 즉 비유에 앞서 주어진 종말에 관한 예수님의 가르침(17:20∼37)과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다.

    이 비유의 7절과 8절에서 강조하고 있는 메시지도 같은 맥락인 ‘종말과 재림’이라는 주제를 부각시키고 있다(특히 8절 “속히 그 원한을 풀어 주시리라 그러나 인자가 올 때에 세상에서 믿음을 보겠느냐 하시니라”). 그러나 이곳에서 발견되는 두 가지 공존하기 힘든 사실이 동시에 존재함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긴장감’(tension)을 감지하여야 한다. 그것은 주님은 ‘분명하게’ 또한 ‘속히’ 오신다는 것과 함께 강조되어 있는 ‘하나님은 오래 참으시는 분이다’라는 사실이다. 이 긴장감을 잘 설명하는 구절을 찾자면 베드로후서 3장 9절의 “주의 약속은 어떤 이의 더디다고 생각하는 것같이 더딘 것이 아니라 오직 너희를 대하여 오래 참으사 아무도 멸망치 않고 다 회개하기에 이르기를 원하시느니라”라는 말씀이다.

    결국 이 비유를 통하여 기도에 대한 하나님의 응답을 앞에서 등장한 ‘불의한 재판관’과 대조하며 설명하고 있다. 우리의 하나님은 그와 달리 ‘의로운 분’이시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으며, 또한 우리의 지속적 요청에 결코 ‘귀찮아 하지 않으신다’는 것이다. 오히려 그러한 우리의 모습이 필요하다고 말씀하시고 계신다. 우리는 위의 긴장감(속히 오심과 오래 참으심)을 잘 이해하고 끝까지 믿음을 잃지 않고 그 분을 신뢰하며, 그 분의 시간을 기다리며 기도를 멈추지 않는 자들이 되어야 한다. 그러한 자들만이 8절의 가장 끝 부분에 나오는 질문에 긍정적 답을 줄 수 있다. 즉, 인자가 오실 때에 종말과 재림을 향한 우리 안의 지속적 믿음을 점검하신다는 것이다.


    2. 이 비유를 통해 얻는 교훈

    이 비유는 우리의 기도 생활에 관하여 다음 두 가지 교훈을 더해 주고 있다. 첫째,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믿는 이들이라는 사실로 인하여 이 땅에서 겪는 불의에 관한 억울한 부르짖음을 듣고 계신다는 것이다..우리는 그 당시에는 모를지라도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시 모든 기도에 대한 응답을 받는다는 사실을 믿어야 한다. 이 땅에서 응답되지 않는 기도가 있을지라도 결국 응답되며 해결될 시간이 다가오고 있음을 보며 확신을 가지고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둘째, 이러한 성취가 가능케 되는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 자체를 위해 기도하여야 한다.

    바로 그때 이루어질 하나님나라의 온전한 도래를 꿈꾸며 지속적으로 기도하여야 한다. 초대 교회 속에 만연하였던 ‘마라나타’(‘주여 오시옵소서’의 아람어 표현)라는 고백이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도 동일하여야 한다.

    3. 이 비유의 교훈과 우리의 현실

    과학과 기술의 고도 발전은 모든 인간을 ‘편리함과 편안함’이라는 사슬로 점점 죄어 포로로 삼고 있다. 새롭고 더 나은 ‘제품’들이 사람들의 눈을 현혹하며 마음까지도 빼앗아 버리는 ‘물질 만능주의’가 팽배한 시대를 살아가는 것이 소위 선진국이라는 곳에서 어렵지 않게 발견되는 ‘부유한 또는 풍요로운’ 기독교인들의 모습이다. ‘왜 이렇게 편리하며 편안한 삶 속에서 재림과 종말에 관한 기대와 바람이 필요한 것인가? 오히려 이 곳에서 잘 살다가 때가 되어 그 곳으로 가면 되지 않겠는가?’라고 반문하는 사람들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세상이 우리에게 ‘낙원같이’ 보이며 ‘낙원화’ 되어져 가는 모습을 그 속에서 발견할지라도 이 세상은 어디까지나 거짓 낙원(pseudo-Utopia)이라는 사실을 우리는 직시하여야 한다. 겉으로는 감추어졌으나 조그마한 노력을 가지고도 우리의 눈에 쉽게 보이는 엄청난 비리, 부정, 불의, 편견, 차별, 가난, 고통, 핍박의 현실이 우리의 앞에 가로 놓여 있다.

    실제로 많은 믿는 이들이 이러한 현실을 경험하고 있으며, 그러한 것에 대항하여 이 세상에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지기 위한 노력을 통해 그러한 현실 속에서의 고통에 동참하고 있다. 과연 우리 각자의 모습은 어떠한가? 이러한 현실을 직시하고 있으며, 그러한 모습을 보고 성경적 원리를 지키며 또한 전하며 살아가고자 노력하고 있는가? 이 질문에 긍정적 답을 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 이 비유의 가르침은 결코 다른 시대에 속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욱 더 이 시대에 절실하게 필요한 가르침일 것이다.

    종종 믿는 이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주의 나라 임하시고’라는 기도는 우리의 삶에 어떠한 모습으로 반영이 되어 있는가?를 물어보아야 한다. 그 이유는 기도가 대상 없는 대화나 혼자만의 독백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나님이 우리의 조그마한 신음소리에도 관심을 보이고 계시는 분이시라면, 우리의 이러한 잘못되며 ‘공허한’ 기도에 관하여 어떻게 응답하시겠는가? 이 비유 속에는 기도 중의 기도라고 할 수 있는 ‘재림’에 관한 기도가 나와 있다. 하나님께서는, ‘이 땅에 하나님나라가 온전히 임하여 우리가 하나님과 함께 영원히 낙원에서 살아갈 것을 소망하는 기도’의 중요성을 가르쳐주시고 있다. 또한 더 나아가 그러한 우리의 기도에 귀를 기울이시고 계시는 하나님의 모습에 대해서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나님나라의 확장을 위하여 믿는 이들을 통하여 일하시는 좋으신 하나님께서는 인간의 역사의 끝이며, 온전히 임할 하나님나라의 완성의 순간인 주님의 ‘재림’의 임함에 대해서도 우리 모두가 기도로 동참하기를 원하시는 것이다.

    교회사를 통해 볼 수 있듯, ‘희망을 포기하고 싶은 충동’은 계속되어 온 유혹이다. 그렇지만 힘이 들기 때문에 타협하며, 지속할 수 없다고 생각하여 재림에 대한 소망을 단념하여서는 안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내가 진실로 속히 오리라”라는 예수님의 말씀에 “아멘 주 예수여 오시옵소서”(계 22:20)라고 고백하는 계시록 저자의 기도가 우리의 기도가 되어야 한다. 우리 스스로에게 질문하여 보자. ‘주의 나라 임하시고’라는 기도가 나에게 어떠한 의미를 주고 있는가? 과연 예수님이 오셨을 때에 나에게서 종말과 재림을 향한 충성과 인내의 믿음을 발견하실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