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2024년 09월 18일
예수프론트라인

예수칼럼:현대적 고전으로 읽히는 최장기 베스트 셀러!
4영리에 대하여 들어보셨습니까?
양치는소리:인터넷 선교원 후원이사 목사님들의 글모음
비전이야기:우리들의 이야기, 독자들로 부터의 글모음
선교마당:선교사로부터의 편지, 선교지소개 등 선교에 관한 글모음

각종 자료 연결
영원한 명시
박광택코너

교회-단체연결

Vision2000

김준곤 예화모음

박성민의 성서보기

경제전망대

천일웅 변호사 이민법 칼럼

인터넷이모저모




동아일보
전자신문
조선일보
중앙일보
미주중앙일보
한국일보
미주한국일보
한겨레신문
라디오서울USA
The New York Times



  • 하나님의 열심

      박성민 간사

      목사, 연세대와 미국 오하이오주립대(공학박사),
      미국 트리니티신학교 졸업(신약학 박사),
      싱가폴 동아시아신학대학원 부총장,
      한국 C.C.C. 총무 역임
      현 한국 C.C.C. 대표


    - "잃어버린 한 양과 한 드라크마의 쌍둥이 비유"(눅 15:4-10절. 비교 마 18:12-14) -

    '죄인들을 위함'이라는 복음의 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신약의 장을 들자면 누가복음 15장이라고 거침없이 말할 수 있다. 특별히 이 장에 나오는 세 가지의 비유는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이 예수님을 향하여 "이 사람이 죄인을 영접하고 음식을 같이 먹는다"라고 하는 원망찬 항의에 대한 예수님의 대응으로 주어졌다. 이 곳에서 다루려 하는 이 쌍둥이 비유와 그 뒤에 연속하여 나오는 "돌아온 탕자"라는 비유 모두 "잃어버린 상태"와 그러한 것을 찾았을 때의 "기쁨"에 초점을 맞춤으로 원망하는 자들의 부당위성을 지적한다. 바로 이러한 면에서 이 세가지 비유가 연결이 되어 있다. 그러나 각각의 비유에서 강조되어져 있는 점에는 차이가 있다. 쌍둥이 비유는 '소유물'을 향한 '적극적으로 찾는 모습'을 부각시키고 있는 반면에 돌아온 탕자의 비유는 '잃어버린 인간'을 향한 '인내심으로 기다림'을 부각시키고 있는 차이점이 있기 때문에 "쌍둥이 비유"와 "탕자의 비유"를 구별하여 따로 다루는 것이 적절하다. 이 쌍둥이 비유 속에 나타나 있는 주제를 저자는 "하나님의 열심"이라고 잡아보았다.

    1. 해석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관찰

    먼저 이 두 비유의 두 주인공을 살펴보자. 한 양을 잃은 목자의 경우는 그 당시의 상황과 통례를 볼 때 100마리 정도의 양을 가진 중산층에 해당하며, 이 사람이 삯군이었을 가능성 보다는 그 양들의 주인이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한 드라크마를 잃어버린 여자의 경우는 결혼 지참금의 일부로 처녀들이 머리 장식에 동전을 달았던 당시의 풍습과 연결하여 보았을 때 그녀에게서 귀중한 것을 잃어버린 경우였다. 결국 이 두 가지 경우 잃어버린 것을 열심히 찾는 이유로써 단순히 그 잃어버린 것들 자체가 가지고 있는 엄청난 가치 때문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그것들이 '자신에게 속한 귀중한 소유'이기 때문이었다고 보는 것이 더욱 타당하다. 이것에 더해 "어느 한 사람" 또는 "한 여인"이라는 표현으로 시작하는 문장은 다른 곳에서 예수님이 자주 사용하시는 용법으로 "평범한 인간의 경우도 그러한데 하물며 하나님은 더욱 더 그러하시다"라는 메시지를 전하실 때 사용되어진다.

    결국 인간도 자신의 소유의 귀중함을 알고 관심과 열심을 가지는데, 하나님께서 자신의 백성들을 구하기 위하여 관심과 열심을 보이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는 말씀을 하고 계시는 것이다. 그러한 잃은 것을 찾은 후 기뻐하시는 하나님의 모습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하늘에서의 기쁨"(7절)과 "하나님의 사자들 앞에 기쁨" (10절)이라는 표현 속에서도 그 분의 관심과 열심을 간접적으로 엿볼 수 있다. 이러한 하나님의 관심과 열심을 표현하는 두 비유 중에서 첫번째 것인 "잃어버린 한 양"의 비유는 문맥과 대상을 달리하여 마태복음 18장에 한번 더 나옴으로 다른 모든 비유와 비교하여 색다르다.

    누가복음에서는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을 대상으로 말씀하셨지만 마태복음에서는 "제자들"을 향해 주셨음을 알 수 있다 (18:1). 이것은 같은 비유를 여러 다른 무리에게 가르치셨던 예수님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는 좋은 부분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 소자 중에 하나라도 잃어지는 것은 하나님의 뜻이 아니니라 (마18:4)"는 결론에서 분명하듯 "한 사람도 잃어버리기를 원하시지 않는 하나님"이라는 중심 메시지는 동일하다. 즉, 누가복음에서는 잃은 자 즉 믿지 않는 자들이 대상이며 마태복음에서는 믿는 자들 중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잃어버린 소자" (즉 "믿는 자 또는 예수의 제자" 10절)에게도 같은 관심과 열심을 가지고 계심과 동시에 그러한 잃어버린 자들이 돌아왔을 때 하나님께서는 매우 기뻐하신다는 것이다. 약간의 뉘앙스에 차이를 지적하자면 마태 복음에서는 믿음의 공동체의 "지도자들"을 향하여 목자와 같이 "열심으로 찾으라"는 면을 들 수 있다. 물론 그렇다고 하여 이 비유를 통하여 남아있는 아흔 아홉 마리 보다 잃어버린 한 마리가 더욱 소중하다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분명한 사실은 모두가 주인 즉 하나님께 속한 소중한 그분의 것이기 때문에 모두가 예외 없이 그분에게 동일하게 소중하다는 것이다.

    2. 이 비유를 통해 얻는 교훈

    첫째, 목자와 여자가 잃어버린 자신의 '귀중한 소유물'을 찾기 위해 열심을 내듯이, 우리의 하나님은 잃어버린 죄인들을 찾으며 구하기 위해 열심을 내시는 분이시다라는 것이다. 우리의 하나님은 적극적으로 잃어버린 자들을 열심으로 찾고 계시며, 회개하는 죄인들에게 베푸시는 용서로 인하여 기뻐하시는 분이시다.

    둘째, 한 잃어버린 양을 찾았을 때와 잃어버린 한 드라크마를 찾았을 때 커다란 기쁨의 잔치를 베풀 이유가 되었듯, 잃어버린 사람들이 회개와 회심을 통해 하나님의 백성으로 거듭나는 사건은 축하하며 기뻐할 사건이라는 것이다. 바로 그것은 하나님의 백성 한 사람 한 사람의 귀함과 연결을 시킬 수 있다.

    아무리 작은 것도 하나님의 눈에는 작을 수가 없다. 바로 모두가 하나님의 소유이기 때문이다.

    셋째, 아흔 아홉 마리의 양이나 아홉 개의 드라크마 동전과 같이 상대적으로 다수를 소유하고 있다고 해서 잃어버린 소수를 간과할 수 없듯이, 잃어버린 백성들을 찾는 전도와 선교의 사역은 결코 충분하다고 여기며 만족하며 중단할 수 없다는 것이다. 예수님께서 다시 오시는 그 순간까지 우리의 '찾는 자로서의 사역'은 결코 중단되어질 수 없는 것이다. 하나님의 열심은 그 분을 믿는 우리들의 열심으로 나타내어져야 한다.

    3. 이 비유의 교훈과 우리의 현실

    이 쌍둥이 비유를 통해 주시는 메시지는 분명하다. 우리의 하나님은 누가 복음에서의 목자나 여인의 모습과 같이 열심으로 잃어 버린 자들을 찾으시며 찾으셨을 때 크게 기뻐하시는 분이시며, 마태 복음에서의 목자의 모습과 같이 찾으신 자들을 하나라도 잃지 않으시려 모든 노력을 기울이시는 하나님의 관심과 열심을 보며 우리는 우리의 모습을 살펴보아야 한다. 먼저 하나님의 열심에 감사하자. 그러나 감사로서 멈추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오히려 이 쌍둥이 비유는 우리 모두를 영혼을 구하는 기쁨의 사역에 강하게 초대하고 있다. 그 분의 열심을 본받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이 열심을 행하는데 있어서 두 영역을 생각하여 볼 수 있다. 먼저 누가복음을 통하여 말하고 있는 잃어버린 자들을 찾기 위한 노력의 중요성을 보아야 한다. 한국 교회 성장의 멈춤의 한 커다란 이유로 전도의 열정이 식어졌다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한 저명한 설교가는 단상에서 "전도 설교"가 더 이상 행하여 지지 않는 교회가 많은 현실을 개탄하였다. 물론 설교를 통해서 전도가 되어 지는 경우는 다수는 아닐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목회자의 모습을 통해 간접적으로 부각되는 강조점과 중심의 전달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잃어버린 자들을 찾기 위한 '하나님의 열심'을 보며 우리는 그들을 향한 '열심과 열정'을 회복하여야 한다. 또한 우리 믿음 공동체 속에 같이하는 주위의 '잃어버린 자들' 또는 '잃어버릴 가능성이 많은 자들'이 존재하는 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이단으로 인한 문제가 있을 때 마다 대부분의 추종자들이 과거에 교인들이었다는 사실은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을 모르는 자들을 향한 사랑과 함께 우리의 신앙 공동체 속에 있으나 무관심과 소외 등으로 '목자로 변장한 도적'들의 잘못된 가르침에 끌려 나갈 가능성이 있는 자들에게도 관심을 기울이는 것의 중요성을 가르치고 있다.

    "하나님의 열심, 이 열심을 향해 당신은 어떻게 반응하겠는가?"